기통석/교보재 구매 

     바로가기

1. 개요

귀반사건강학을 알려면 먼저 이침(耳針)의 역사를 알아야 한다. 이침은 프랑스의 폴 노지에 박사(Dr. Paul Nogier)에 의해 현대화 되었다고 할 수 있다.

1950년대 노지에 박사는 자신을 찾아온 환자의 일부에서 귀에 화상 흔적이 있음을 보았고, 그 흔적을 분석하여 고대의 동양에서부터 내려온 이침(耳針)에 대해 알게 되었다.

그 후 본격적인 연구를 시작하여 과학적 근거에 기반을 둔 태아역위지도를 만들게 되었고, 이러한 노력의 결과로 현대적인 이침(耳針)의 선구자가 되었으며, 그의 영향을 받은 유럽의 여러 연구가들에 의해 이침(耳針)은 서양식으로 변화하여 각 나라로 널리 보급 되었다.


2. 동양

동양에서는 혈과 그 혈이 순환 하는 경맥이라는 것을 찾아 내었다. 귀반사건강학에서 이용하는 상응반응점은 중국에서 기원을 찾을 수 있다.

춘추전국시대에 쓰여진 것으로 추정되는 황제내경(黃帝內經)에서 귀를 이용한 기록을 찾을 수 있는데, 그 내용은 "몸에는 12개의 경맥이 흐르고, 이 12개의 경맥은 손과 발에서 시작 하거나 끝나는데 그 중간에 몸통과 머리를 연결하여 순환하게 된다. 12개의 경맥 모두가 귀와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 된다." 고 하였다. 당나라 시대 대표적 의서인 천금요방[千金要方]에서 "귀의 염증이나 귀울림을 귀뒤에 쑥뜸으로 개선한다" 하였고, 명나라시대 의서인 본초강목(本草綱目)에서는 "열이 자주 나는 사람은 양쪽 귀에 뱀껍질을 넣어 개선한다" 라고 하였다.

민간에서도 귀를 이용한 방법들이 많았는데, 열이 심하여 헛소리를 하고, 정신이 혼미한 경우 이침을 자극하여 열을 내리게 하였다.

동양에서는 귀와 관련된 경맥을 이용하여 개선하는데 사용한 흔적이 많으며, 귀를 통하여 몸 전체에 관련된 증상을 개선할 수 있다고 생각 하였음을 알 수 있다.


3. 서양

고대 이집트나 그리스에서는 귀걸이 등을 이용하여 신체의 증상을 개선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서기 2백년 경 고대 페르시아에서는 귀의 일부분에 화상을 입혀 좌골신경통을 개선한 기록이 있다. 귀에 화상을 입혀 좌골신경통을 개선한 것은 나중에 노지에 박사가 이침을 현대화 하는 계기를 제공하였다.

네덜란드의 동인도회사의 무역상들이 중국과의 교역을 통하여 중국의 의학이 유럽의 여러나라로 퍼져나가게 되었다. 이때부터 중국의 침이 유럽에 전해져 서양식 피내침이 발달하게 되었다고 전해진다.


4. 근현대

현재와 같은 형태의 이침은 1956년 프랑스의 폴 노지에가 유럽침술학술지에 태아역위지도를 발표하면서부터 연구 되어지기 시작하였다.

연구결과 발표 이후 프랑스의 의사인 보르디올과 독일의사인 프랭크 바흐 등과 함께 내부장기와 귀의 관계에 대하여 계속적인 연구를 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물들은 중국에도 전해져 중국의 이침이 유럽을 거쳐 발전된 형태로 다시금 중국으로 전해지게 되었다.


1960년대의 중국은 모택동의 중국의학의 서양화 정책으로 적극적인 지원에 힘입어 침구학이 상당한 발전을 이루게 되었는데 특히 남경군 침구연구팀은 폴 노지에의 태아역위지도를 2천명의 환자에게 실험하여 노지에박사의 태아역위지도에 근거한 반응점의 효과와 중국 전통 이혈의 효과를 비교 검증하여 중국의 독자적인 반응점들을 찾아내는 연구를 하였다.


1980년대 미국의 UCLA의 테리올슨을 비롯한 여러 연구자들이 이중맹점 방식을 이용하여 귀를 이용한 진단이 근육 및 골격계 질환에 있어서 대략 75% 정도의 정확도를 가지고 있음을 밝혀내었다.


1990년에는 세계보건기구에서 91개의 반응점에 대해 효과가 있다고 인정하였으며, 현재까지 밝혀진 반응점은 2백개가 넘는다.



쇼핑몰 바로가기

주소 : 서울시 관악구 남부순환로 1369 관악농협농산물백화점 4층

사업자등록번호 : 112-82-05416

상담문의 : 02-886-4931~2  팩스 : 02-887-8605

Copyright Korea Sports Training Association, All Right Reserved.